728x90 728x90 故事成語26 과하지욕(袴下之辱) 국민의힘 윤리위원회가 지난 20일 홍준표 대구시장에 대한 징계 절차를 개시했다. 이에 홍 시장은 '과하지욕(袴下之辱)'이라는 한자성어로 자신의 심경을 표현했다. 홍 시장은 집중호우로 전국적 피해가 발생한 지난 15일 대구의 한 골프장에서 골프를 친 사실이 알려지면서 논란이 되었고 "주말에 테니스 치면 되고 골프치면 안 된다는 규정이 공직사회에 어디 있나"고 반박하면서 비판 여론이 커 졌다. 이에 당 윤리위는 18일 홍 시장에 대한 징계 개시 여부 안건을 상정했으며 19일 홍 시장은 "수해로 상처입은 국민과 동지에게 진심으로 사과드리다"고 고개를 숙였다. 하지만 홍 시장은 중앙윤리위원회가 자신에 대한 징계를 개시하기로 의결한 것과 관련하여 '과하지욕(袴下之辱)'이라는 한자성어를 SNS에 남기며 오히려 화를.. 2023. 7. 25. 읍참마속(泣斬馬謖) 중국의 삼국지를 배경으로 하는 매우 유명한 고사성어이다. 후세에도 이 고사가 많은 사람들에게 회자되는 것은 이유가 있다고 생각한다. 예외 없는 법의 집행. 공정. 이런 단어들과 직·간접적으로 연결되기에 현대에도 이 고사성어가 종종 쓰이고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오늘은 공정함을 바탕으로 법을 집행한다는 의미의 읍참마속(泣斬馬謖)에 대해 알아보겠다. ▣의미 읍참마속(泣 : 울 읍, 斬 : 벨 참, 馬 : 말 마, 謖 : 일어날 속)은 '울면서 마속의 목을 벤다'로 직역할 수 있다. 다르게는 휘루참마속(揮淚斬馬謖), 휘루참지(揮淚斬之)라고도 한다. 대의를 위하고, 공정함과 법을 지켜 기강을 바로 세우기 위해 사사로운 감정을 버리는 상황을 비유할 때 쓰이는 고사성어이다. ▣유래 삼국지의 에서 유래한 말이다. 유.. 2023. 6. 14. 새옹지마(塞翁之馬) '인간사 새옹지마'라는 말을 종종하게 된다. 좋은 일이 있으면 나쁜 일도 있고, 또 안 좋은 일이 있으면 좋은 일도 있다는 의미로 쓰이는 고사성어이다. 그만큼 우리의 일상은 늘 다양한 변화가 있어 앞으로의 일을 예측하기 어렵다는 뜻이기도 하다. 오늘은 이 새옹지마(塞翁之馬)의 의미와 유래를 다시 살펴 보겠다. ▣의미 새옹지마(塞 : 변방 새, 翁 : 노인 옹. 之 : 어조사 지, 馬 : 말 마)는 '변방에 사는 노인의 말'로 직역할 수 있겠다. 서두에서도 언급했지만 우리의 삶은 행복과 불행이 반복되므로 앞으로의 일을 예측하고 단정짓는 것은 어렵다는 의미이다. ▣유래 새옹지마(塞翁之馬)는 중국 전한 시대 의 내용 중 에서 유래한다. 전쟁이 자주 일어나던 북쪽 변방에 한 노인이 살고 있었다. 이 노인이 기르.. 2023. 5. 22. 곡학아세(曲學阿世) 흔히 출세나 권력욕에 눈이 먼 지식인을 비판하는 데 쓰이거나, 혹은 허황된 학설로 세상을 현혹시키려 하는 사람들을 비판할 때 쓰이는 고사성어이다. 이 표현도 정치인들이 자주 사용하는 표현 중에 하나이다. 서로를 비판하는 사람들, 정치인들 중에 정말 누가 곡학아세를 하는지는 우리 같이 힘 없는 민초들은 알고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오늘은 곡학아세(曲學阿世)에 대해 알아본다. ▣의미 곡학아세(曲 : 굽을 곡, 學 : 배울 학, 阿 : 아부할 아/ 언덕 아, 世 : 세상 세) 배운 것을 구부려 세상에 아부하다라는 의미이다. 세상에 올바로 펼치지 못하고 정도를 벗어난 학문으로 세상 사람들에게, 또는 권력자에게 아첨함을 이르는 말이다. ▣유래 중국 사마천의 사기-유림열전에서 유래한 고사 성어이다. 중국 한나라 황.. 2023. 5. 12. 이전 1 2 3 4 5 6 7 다음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