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故事成語' 카테고리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 지나가다 잠시 쉬어가는 공간...
728x90
728x90

故事成語25

article thumbnail 도량발호(跳梁跋扈)의 의미와 유래 도량발호(跳梁跋扈)▣ 한자 뜻跳 (뛸 도): 뛰다, 날뛰다.梁 (들보 량): 들보, 다리, 또는 도약을 의미함.跋 (밟을 발): 밟다, 방해하거나 눌러 억누르는 행동.扈 (막을 호): 호가(護加)라는 뜻에서 기세를 부리는 모습.▣ 의미**"도량발호(跳梁跋扈)"**는 주로 부정적인 맥락에서 사용되며,-기세등등하게 날뛰며 제멋대로 행동함을 뜻합니다.사회적 규율이나 권위를 무시하고 방자하게 행동하는 것을 비유합니다.▣ 유래도량발호(跳梁跋扈)는 '도량'과 '발호' 두 단어가 결합하여 만들어진 사자성어로 볼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는 '도량'과 '발호' 각각의 유래를 소개해 보겠습니다.'도량(跳梁)'의 유래는 장자(莊子)의 소요유(逍遙遊) 편에 나오는 이야기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옛날 북쪽 바다에 '곤(鯤)'이라.. 2024. 12. 26.
article thumbnail 후안무치(厚顔貿恥)의 뜻 후안무치(厚顔貿恥)는 한자로 "두꺼운 얼굴"과 "부끄러움을 무역하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표현은 일반적으로 부끄러움이나 수치심이 없이 행동하는 사람을 지칭하며, 때로는 그 행동이 비도덕적이거나 사회적으로 용납되지 않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이와 관련된 내용을 다음과 같이 정리해보겠습니다. 1. 한자 뜻    - 厚(후): 두껍다, 두터운    - 顔(안): 얼굴    - 貿(무): 무역하다, 교환하다    - 恥(치): 부끄러움, 수치 2. 의미    - 후안무치는 부끄러움을 느끼지 않고 거리낌 없이 행동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태도는 종종 사회적 규범이나 도덕을 무시하는 행동으로 간주됩니다. 예를 들어, 잘못된 행동이나 비윤리적인 행위를 저지르고도 전혀 부끄러워하지 않는 사람을 묘사할 .. 2024. 12. 14.
article thumbnail 삼성가노(三姓家奴)의 유래와 풍자 삼성가노(三姓家奴) 의 의미와 유래, 그리고 풍자1. 한자 뜻과 의미三 (석 삼): 셋. 숫자 3을 뜻합니다. 여기서는 여포가 섬겼던 세 명의 주군을 의미합니다.姓 (성씨 성): 성씨. 혈족 관계를 나타내는 명칭입니다.家 (집 가): 집안, 가문. '집안의' 또는 '가문의'라는 뜻으로 쓰였습니다.奴 (종 노): 종, 노비. 남의 집에 매여 일하는 사람을 뜻합니다.즉, '삼성가노(三姓家奴)'는 세 개의 성씨를 가진 집안의 종이라는 뜻으로, 여러 번 주군을 바꾸어 세 개의 성씨를 갖게 된 사람을 비하하는 표현입니다. 2. 유래중국 명나라 소설가 나관중(羅貫中)의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에서 유래했습니다. 촉한의 장수 장비(張飛)가 여포(呂布)를 꾸짖을 때 사용한 욕설입니다. 여포는 본래 여(呂)씨였지만.. 2024. 12. 13.
중과부적(衆寡不敵) - 실패한 계엄령이 남긴 한 마디 ▣ 중과부적(衆寡不敵)한자 뜻:衆 (무리 중): 무리, 많음寡 (적을 과): 적음, 과부不 (아닐 부): 아니다, ~하지 않다敵 (대적할 적): 대적하다, 겨루다, 적즉, '중과부적'은 "무리가 적으니 대적할 수 없다"는 뜻으로, 사람의 수가 적어서 많은 사람을 상대하기 어려움을 비유하는 고사성어입니다. ▣ 유래중과부적은 《맹자》 〈양혜왕 편〉에서 유래했습니다. 맹자는 양혜왕에게 "작은 나라가 큰 나라를 이길 수 없고, 적은 수의 군사로 많은 군사를 대적할 수 없으며, 약한 군사로 강한 군사를 대적할 수 없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원문은 "寡固不可以敵衆(과고불가이적중)"으로, "적음은 결코 많음에 맞설 수 없다"는 뜻입니다.즉, 맹자는 전쟁에서 수적으로 불리하면 승리할 수 없다는 점을 강조하며, 양혜왕에.. 2024. 12. 5.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