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8일 더불어민주당의 이재명 후보가 보수진영 책사로 불려진 윤여준 전 환경부 장관을 상임선대위원장으로 추대하며 "구동존이(求同存異)라는 말이 있다. 좌우든 보수와 진보든 똑같아질 수는 없겠지만 공통점을 찾아가는 게 좋겠다"며 "통합의 가치가 그 어느 때보다 높은 시기"라고 강조했다. 여기서 이재명 후보가 말한 '구동존이(求同存異)'의 뜻과 유래를 살펴 보도록 하겠다.
1. 한자 뜻
- 求 (구): 구할 구
- 同 (동): 같을 동
- 存 (존): 있을 존
- 異 (이): 다를 이
글자 그대로 풀이하면 **"같은 점을 구하고 다른 점은 남겨둔다"**는 뜻입니다.
2. 유래
구동존이는 중국의 고전에서 직접적으로 유래한 표현은 아닙니다. 이 성어는 **중국 공산당의 지도자였던 저우언라이(周恩來)**가 1955년 반둥 회의(아시아·아프리카 회의)에서 다양한 배경과 이념을 가진 국가들이 공통의 목표를 위해 협력하는 원칙을 설명하면서 사용한 말로 알려져 있습니다.
당시 회의에서 저우언라이는 각 나라의 사회 제도나 이념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평화 공존과 공동 발전을 추구하는 공통의 목표를 바탕으로 서로 이해하고 협력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러한 그의 연설에서 "서로의 다른 점은 인정하면서 공동의 이익을 추구하자"는 취지의 발언이 있었고, 이후 이것이 **"구동존이(求同存異)"**라는 성어로 정리되어 널리 사용되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구동존이는 고전적인 유래를 가진 성어라기보다는, 현대 정치 외교의 맥락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 용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3. 의미
구동존이는 서로 간의 차이점을 인정하고 존중하면서, 공통의 목표나 이익을 위해 협력하는 태도를 강조하는 말입니다. 이는 개인 간의 관계뿐만 아니라 집단, 국가 간의 관계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닙니다.
구동존이의 핵심적인 의미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 다양성 존중: 서로 다른 배경, 생각, 가치관 등을 인정하고 존중합니다.
- 공통 목표 추구: 차이점보다는 공통의 목표나 이익을 우선시하고 이를 위해 협력합니다.
- 상호 이해와 관용: 서로의 입장을 이해하고 배려하며, 너그러운 마음으로 관계를 맺습니다.
- 실용주의적 접근: 이상적인 완전한 합의보다는 현실적으로 가능한 공동의 목표 달성에 집중합니다.
4. 활용 예시
구동존이는 다양한 상황에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 국제 관계: 서로 다른 이념과 체제를 가진 국가들이 세계 평화와 공동 번영을 위해 협력하는 경우
- 정치: 다양한 정파가 국민의 이익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위해 타협하고 협력하는 경우
- 기업: 서로 다른 전문성을 가진 사람들이 회사의 발전을 위해 협력하는 경우
- 개인 관계: 서로 다른 성격과 취향을 가진 사람들이 우정을 유지하고 발전시키는 경우
5. 중요성
구동존이는 현대 사회에서 더욱 중요성이 강조되는 가치입니다. 글로벌화가 심화되고 다양한 문화와 가치관이 공존하는 사회에서, 서로의 차이를 인정하고 공동의 목표를 위해 협력하는 자세는 갈등을 줄이고 상생을 도모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구동존이의 정신은 상호 존중과 이해를 바탕으로 더 나은 공동체를 만들어가는 지혜를 담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6. 유사의미의 한자성어
이이제이(以異制異), 제구차이(齊驅差異), 동이보단(同異補短), 화이부동(和而不同) 등이 있습니다.
☞ 함께보면 좋은 글 ☜
https://check--mylife.blogspot.com/2025/04/blog-post_30.html
이이제이(以異制異)의 유래와 의미
check--mylife.blogspot.com
'故事成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량발호(跳梁跋扈)의 의미와 유래 (2) | 2024.12.26 |
---|---|
후안무치(厚顔貿恥)의 뜻 (2) | 2024.12.14 |
삼성가노(三姓家奴)의 유래와 풍자 (1) | 2024.12.13 |
중과부적(衆寡不敵) - 실패한 계엄령이 남긴 한 마디 (1) | 2024.12.05 |
마부작침(摩斧作針) (1) | 2024.11.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