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728x90 분류 전체보기205 결초보은(結草報恩) ▣ 의미 결초보은(結 : 맺을 결, 묶을 결 草 : 풀 초 報 : 갚을 보 恩 : 은혜 은) 풀을 묶어 은혜에 보답한다는 의미로 죽어서도 은혜를 잊지 않고 갚는다는 말이다. ▣ 유래 중국의 춘추 시대에 전하는 고사성어이다. 춘추시대 진나라의 대신이었던 위주는 젊은 후처를 얻었는데, 병이 들자 아들 위과에게 후처를 친정으로 돌려보내 개가 시키라고 유언했다가 병세가 중해져 정신이 오락가락해지자 말을 바꿔 후처를 순장시키라는 유언을 남기고 세상을 떠났다. 위과는 아버지의 상반된 유언 중에 무엇을 따를지 고민했는데, 차남 위기는 순장하자는 유언을 따르자고 했으나 결국 위과는 아버지가 정신이 온전했을 때 남긴 유언을 따르기로 하여 위주의 후처를 순장시키지 않고 친정으로 돌려보내 개가시켰다. 후에 위과는 전쟁터에 .. 2023. 3. 15. 한진포구 일출 멀리 무겁게 내려앉은 가스층 때문에 일출을 못보는 줄 알았다. 너무 높으면 일출의 분위기가 나지 않을 것 같았는데 가스층 덕분에 붉은 빛의 해를 보게된 것 같다. 그래도, 코발트 블루의 파란 하늘빛을 못 본 것은 못내 아쉬움으로 남는다. 2022.06.24 - [즐거운 사진여행] - 인천대교 일출 인천대교 일출 카메라를 들고 셔터를 눌렀던 그동안의 시간들 중에서 이런 하늘을, 이런 순간을 본 적은 거의 없었던 것 같다. 오랜만에 일요일 새벽 일출을 보겠다는 생각으로 집을 나섰는데... 이런 하늘이 byeongun4785.com 2022.06.27 - [즐거운 사진여행] - 강화도 일출 강화도 일출 이른 시간 수평선 너머로 떠오르는 해는 아니지만 그래도 흔히 말하는 일출이라 부를 수 있는 순간을 맞으면 늘.. 2023. 3. 14. 절치부심(切齒腐心) ▣ 의미 절치부심(切 : 끊을 절, 齒 : 이 치, 腐 : 썩을 부, 心 : 마음 심) 이를 갈고 마음을 썩인다는 뜻으로 몹시 분하여 마음이 쓰린 것을 의미한다. 복수에 대한 독기를 품은 아픔을 담고 있는 고사성어이다. ▣ 유래 의 '자객열전 - 형가' 편에서 유래한 말로 진나라와 연나라가 대립하던 시절을 배경으로 한다. 전국시대 위나라 사람 형가는 식견과 검술에 뛰어나 연나라 태자 '단'의 식객이 되어 그의 충신이자 조언자 역할을 하였다. 태자 단은 진나라의 인질로 있다가 겨우 도망쳐 돌아온 것이어서 진나라 왕에게 복수하고 싶어했다. 그러나 연나라의 세력에 비해 진나라의 세력은 매우 막강했다. 진나라가 점점 그 세력을 넓혀 연나라에 가까워 오자 태자 단은 마음이 조급해졌다. 그래서 형가에게 천하의 땅을.. 2023. 3. 14. 와신상담(臥薪嘗膽) ▣ 의미 와신상담(臥 : 누울 와, 薪 : 섶 신, 嘗 : 맛볼 상, 膽 : 쓸개 담) 불편한 섶에 누워 자고 쓴 쓸개를 맛본다는 의미로, 원수를 갚으려 하거나 실패한 일을 다시 이루고자 굳은 결심을 하고 어려움을 참고 이겨낸다는 말이다. 말하자면, 자신의 몸을 괴롭히면서까지 원한을 잊지 않는 지독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극기의 모습이라고 볼 수도 있으나 너무 독한 모습이라 하여 부정적으로 보기도 한다. 약어로 '상담(嘗膽)'만 쓰는 경우도 간혹 있다. ▣ 유래 기원은 춘추전국시대 오월이 서로 대립하고 있을 때의 이야기가 전해진다. 오왕 합려는 월의 구천을 공격하다가 결국 구천에게 대패하고 전사했는데 아들 부차가 이를 원통해 했다. 부차는 매일 밤 가시가 많은 장작 위에 누워서 잠을 청했고 자기 방에 .. 2023. 3. 13. 이전 1 ··· 30 31 32 33 34 35 36 ··· 52 다음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