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치부심(切齒腐心)
본문 바로가기
  • 지나가다 잠시 쉬어가는 공간...
故事成語

절치부심(切齒腐心)

by 정민4785 2023. 3. 14.
728x90
728x90

절치부심
절치부심(切齒腐心)

 

▣ 의미

절치부심(切 : 끊을 절, 齒 : 이 치, 腐 : 썩을 부, 心 : 마음 심)

이를 갈고 마음을 썩인다는 뜻으로 몹시 분하여 마음이 쓰린 것을 의미한다. 복수에 대한 독기를 품은 아픔을 담고 있는 고사성어이다.

 

▣ 유래

<사기>의 '자객열전 - 형가' 편에서 유래한 말로 진나라와 연나라가 대립하던 시절을 배경으로 한다. 전국시대 위나라 사람 형가는 식견과 검술에 뛰어나 연나라 태자 '단'의 식객이 되어 그의 충신이자 조언자 역할을 하였다. 태자 단은 진나라의 인질로 있다가 겨우 도망쳐 돌아온 것이어서 진나라 왕에게 복수하고 싶어했다. 그러나 연나라의 세력에 비해 진나라의 세력은 매우 막강했다. 진나라가 점점 그 세력을 넓혀 연나라에 가까워 오자 태자 단은 마음이 조급해졌다. 그래서 형가에게 천하의 땅을 빼앗고 천하의 왕들을 신하로 삼으려는 진나라 왕의 탐욕을 제치해야 한다고 하며, 진나라 왕에게 가까이 접근해 내부의 난을 일으켜 군신 간에 의심을 하도록 만들면 혼란에 빠진 진나라를 깨뜨릴 수 있을 것이라 하였다.

 

그때 마침, 진나라의 장수였던 번오기가 진나라의 왕에게 죄를 짓고 연나라로 망명해 있었다. 곤궁에 처한 번오기를 신하들의 반대를 무릅쓰고 태자 단은 불쌍히 여겨 받아 주었다. 진나라 왕이 번오기를 잡아들이고자 재물을 내걸고 찾고 있었기 때문에, 형가는 번오기를 진나라에 넘길 때 가까이 다다갈 기회가 생기므로 이때 진나라 왕을 제거할 수 있을 것이라 제안하였다. 그러나 태자 단은 스스로 자신에게 찾아온 번오기에게 차마 그럴 수 없다며 반대하였다. 형가는 태자 단의 마음을 알고 개인적으로 번오기를 찾아가 말했다.

 

"진나라가 장군을 대우함은 매우 참혹합니다. 부모와 종족이 모두 죽거나 노비가 되었고, 지금 장군의 목에는 황금 일천 근과 만 호의 식읍을 내걸었다고 합니다. 장차 어찌하시겠습니까?"

이에 번오기는 하늘을 올려다보며 탄식하여 말했다. 

"늘 그 생각만 하면 너무 괴롭습니다. 그러나 어찌할 바를 모르겠습니다."

"지금 한마디로 연나라의 근심을 없애고 장군의 원수를 갚을 수 있다면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어떻게 하면 될까요?"

"장군의 목을 얻어 진나라 왕에게 바쳤으면 합니다. 그러면 진나라 왕은 분명 기뻐하며 저를 만나려 할 것입니다. 그때 제가 그의 가슴을 찌르겠습니다. 그렇게 장군의 원수를 갚고 연나라의 모욕을 씻을 수 있을 것입니다."

 

형가의 말에 번오기는 한 손으로 팔을 움켜쥐고 다가가,

"이는 제가 밤낮으로 이를 갈며 속을 썩이던 것입니다(此臣之日夜切齒腐心也). 이제 드디어 그 가르침을 받게 되었습니다."

하고는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형가는 번오기의 목을 상자에 담아 진나라로 향했고 진나라 왕은 기뻐며 연회를 베풀어 주었다. 이에 형가가 왕 바로 앞까지 다가가 숨겨간 비수로 진나라 왕을 찔렀으나 몸에 닿지 못해 실패하고 그 자리에서 형가는 죽임을 당했다. 연나라는 5년 후 진나라의 차지가 되었다.

 

여기서 전하여 절치부심은 몸과 마음이 다 상할 정도로 분해 있는 상태, 마음에 새겨져 잊지 못하는 치욕을 씻어 내고자 하는 간절한 모습을 가리킨다. 또는 승부 따위에 명예를 되찾기 위해 의지를 불태우는 마음가짐을 나타낸다. 

728x90

'故事成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전벽해(桑田碧海)  (0) 2023.04.08
과유불급(過猶不及)  (0) 2023.03.21
결초보은(結草報恩)  (0) 2023.03.15
와신상담(臥薪嘗膽)  (2) 2023.03.13
토사구팽(兎死狗烹)  (2) 2023.03.1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