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레이저 무기 개발 상황
본문 바로가기
  • 지나가다 잠시 쉬어가는 공간...
이런저런 이야기들

우리나라의 레이저 무기 개발 상황

by 정민4785 2025. 4. 10.
728x90
728x90

레이저 무기

 

 

레이저 무기는 빠르게 발전 중인 미래 무기 체계 중 하나로, 기존의 탄도형 무기와 달리 빛(광자)을 이용하여 목표물을 공격합니다. 아래에서는 레이저 무기의 원리, 파괴력, 상용화 현황, 그리고 우리나라의 개발 상황에 대해 상세하고 체계적으로 설명하겠습니다.


🔷 1. 레이저 무기의 원리

▪ 레이저(LASER)의 정의

레이저(LASER)는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의 약자로, 자극 방출에 의한 빛의 증폭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인 빛과 달리, 레이저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 단일 파장(단색성): 에너지가 집중됨
  • 높은 직진성: 멀리까지 거의 퍼지지 않음
  • 위상 일치(코히런스): 높은 에너지 집중 가능

▪ 무기화 과정

  1. 에너지 공급: 전기 또는 화학적 에너지를 공급
  2. 레이저 발생기(광원): 에너지를 흡수하여 고에너지 레이저 빔 생성
  3. 빔 조정 시스템: 거울과 렌즈로 레이저를 목표물에 정확히 조준
  4. 타격 및 열 효과: 레이저가 대상에 집중되면, 표면을 고열로 가열해 용해, 연소, 폭발 등을 유도

🔷 2. 파괴력

▪ 파괴 메커니즘

레이저 무기는 직접 타격형 에너지 무기로,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피해를 줍니다:

  • 열 파괴: 금속, 플라스틱 등을 순간적으로 고열로 가열해 녹임
  • 구조 손상: 드론, 미사일의 유도장치나 날개 등을 손상시켜 기능 정지
  • 전자기장 방해: 고출력 펄스레이저로 센서나 회로에 손상 유발

▪ 출력에 따른 파괴력 (대표적 분류)

출력 수준효과 범위예시 용도
수 W ~ 수십 W 눈부심, 센서 파괴 비치명적 제압, 센서 무력화
수백 W ~ 수 kW 연소, 소형 드론 격추 방어용 전술 레이저
수십 kW ~ 수백 kW 금속 융해, 미사일 요격 전략 방어무기, 대미사일 무기
수 MW 이상 고속기체, 위성 타격 가능 미래형 우주 무기

🔷 3. 레이저 무기의 상용화 현황

▪ 미국

  • HEL (High Energy Laser): 육군, 해군, 공군 모두 개발 중
  • LAWS (Laser Weapon System): 미 해군이 함정에 탑재, 실제 해상 시험 성공
  • DE M-SHORAD: 고출력 이동식 레이저, 드론 및 로켓 방어용

▪ 이스라엘

  • Iron Beam: 아이언돔의 보완 시스템으로 개발 중, 드론 및 박격포 방어

▪ 중국

  • Silent Hunter: 수 kW급 차량 탑재형 레이저 무기 개발
  • 위성 방해, 드론 요격에 활용 가능성 제기됨

▪ 러시아

  • Peresvet: 전략 미사일 부대에 배치된 레이저 무기 존재, 정보 비공개

🔷 4. 우리나라의 레이저 무기 개발 상황

▪ 개발 주체

  • 국방과학연구소(ADD), 한화시스템, LIG넥스원 등 민군 협력

▪ 주요 진척 상황

2019년 '드론 대응용 레이저 무기' 체계 개발 착수
2021년 차량 탑재형 레이저 무기 시제 공개
2022년 드론 요격 시험 성공
2024년 20kW급 고에너지 레이저 무기 시제 개발 완료, 실전 배치 준비 단계

▪ 특징 및 기술 수준

  • 차량 탑재형, 소형 드론 요격에 최적화
  • AI 기반 자동 조준 기술과 결합 중
  • 지상 방어용 외에도, 함정/항공기 탑재를 위한 경량화 연구 진행

▪ 활용 가능성

  • 드론 테러 방어
  • 북한 무인기 침투 대응
  • 근거리 미사일 및 박격포 방어
  • 향후 탄도탄 요격용 전략무기로 확장 가능성 존재

🔷 5. 장단점 요약

장점단점
- 실시간 타격 가능 (광속)
- 탄약 소모 없음
- 운용비용 저렴
- 정밀 타격 가능
- 기상 영향 (비, 안개 등)
- 출력 증가에 따른 냉각 문제
- 장거리 적용 한계
- 이동 목표 추적 어려움

🔷 6. 결론

레이저 무기는 미래 전장의 핵심 기술로 자리 잡고 있으며, 특히 드론·미사일·소형 무인기 등의 위협에 대처하는 데 탁월한 능력을 보입니다. 우리나라도 세계적 수준에 근접한 기술을 확보하고 있으며, 향후 전략무기로의 확장도 기대됩니다.

728x90

댓글